지난번 1세대 실손보험(실비보험) 특징에 이어 오늘은 2세대 실손보험의 특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명 '표준화 실손'이라고 불리는 2세대 실손보험은 현재까지 나온 1~4세대 실손보험 가입자 중 가장 많은 사람이 가입한 실손보험입니다. 2세대 실손보험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2세대 실손보험 가입시기 : 2009년 10월 ~ 2017년 3월에 가입한 경우!
내가 가입한 실손보험이 2세대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가입시기로 알 수 있습니다. 2세대 실손보험의 판매시기는 2009년 10월부터 2017년 3월까지이므로 이 기간 안에 실손보험에 가입하셨다면 2세대 실손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것입니다. 2세대 실손보험이 1세대와 다른 점이 몇가지 있는데 그 중에서 중요한 것만 말씀드리겠습니다.
2세대 실손보험의 특징 : 자기부담금 도입
지금은 당연하게 생각하는 실손보험의 자기부담금이 2세대부터 도입되었습니다. 1세대 실손보험은 자기부담금이 없어 병원치료를 받은 전체 금액을 보장받을 수 있었는데요. 이로 인해 보험사들의 적자가 심해져 도입한 것이 바로 자기부담금 제도입니다. 2세대 실손보험의 자기부담금 비율은 급여와 비급여 부분 모두 10% 입니다. 즉, 내가 병원비로 100만원을 청구 받았을 때 실손보험을 활용하면 10만원의 비용만 내면 된다는 뜻입니다.
보장범위가 1세대 실손보험 대비 더 넓어졌다.
1세대 실손보험은 자기부담금이 없는 대신에 보장범위에 있어 2세대 실손보험보다 좁습니다.
- 입원의 경우 : 1세대 실손보험 3천만원까지 보장 ↔ 2세대 실손보험 5천만까지 보장
- 통원의 경우 : 1세대 실손보험 10만원(일당) ↔ 2세대 실손보험 30만원(일당)
이렇게 입원, 통원에 대한 보장범위가 2세대 실손보험이 더 넓으며 질병치료의 경우 1세대 실손보험은 가입 후 180일 후부터 보장 받을 수 있는 반면에 2세대 실손보험은 가입 후 바로 보장이 가능합니다. 2세대 실손보험은 1,877만명의 가장 많은 가입자를 보유한 실손보험입니다. 많은 가입자를 보유했다는 것은 그만큼 활용도가 좋다는 것을 뜻하는데요. 넓은 보장범위와 적은 자기부담금이 바로 그 이유입니다. 오늘은 2세대 실손보험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본인이 가입한 실손보험이 몇 세대인지를 잘 파악하셔서 보장을 받으실 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