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를 받거나 수술을 받고 나서 실손보험을 청구할 때 내가 가입한 실손보험의 보장내용이 어떻게 되고 자기부담금은 얼마인지를 잘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오늘은 3세대 실손보험 실비보험의 자기부담금부터 보장내용, 장단점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3세대 실손보험은 가입시기에 따라 4가지로 구분됩니다.
3세대 실손보험은 3번의 개정이 있었기 때문에 가입시기에 따라 3가지로 구분됩니다. 편하게 3세대 1번, 3세대 2번, 3세대 3번으로 나눠서 말씀드리겠습니다.
- 3세대 1번 : 2013년 4월 ~ 2015년 9월까지 가입한 실손보험이 3세대 1번입니다.
- 3세대 2번 : 2015년 9월 ~ 2017년 3월까지 가입한 실손보험이 3세대 2번입니다.
- 3세대 3번 : 2017년 4월 ~ 2018년 3월까지 가입한 실손보험이 3세대 3번입니다.
- 3세대 4번 : 2018년 3월 ~ 2021년 7월까지 가입한 실손보험이 3세대 4번입니다.
3세대 실손보험이 이렇게 4번의 개정을 거쳐 나눠진 이유는 보험사의 손해가 컸기 때문입니다. 이어서 말씀드리겠지만 개정이 되면 될수록 가입자가 보장받는 내용이나 범위가 점점 줄어들게 되었으며 자기부담금은 많아졌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3세대 실손보험 가입자들은 본인이 가입한 시기에 따라 보장받는 내용을 확실하게 알아야 보험금 청구를 할 때 이상없이 받을 수 있습니다.
3세대 실손보험은 만기주기가 바뀌었고 급여, 비급여 항목을 분리해서 보상합니다.
먼저 3세대 1번의 경우 만기주기가 15년으로 바뀌었습니다. 기존 1, 2세대의 경우 만기 100세로 가입했으면 보장내용이 변동없이 100세까지 동일하게 보장받을 수 있었는데 3세대 1번 실손보험은 15년마다 미래 시점에 변경되는 실손보험 상품의 보장내용으로 다시 가입을 해야 합니다. 즉, 15년마다 내가 가입하게 되는 실손보험의 상품내용이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현재 3세대 1번 실손보험에서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급여, 비급여 항목에 대해 90%를 보상하는데 15년 뒤에는 50%만 보장한다고 하면 50% 보장하는 상품으로 가입해야 합니다. 이는 보험사에서 손해가 많은 부분에 대해서 15년마다 개정해서 상품을 출시할 것이기 때문에 가입자 입장에서는 불리하게 되는 것입니다. 3세대 1번 실손보험의 자기부담금은 급여, 비급여 항목 구분없이 10%입니다.
3세대 2번 실손보험은 만기주기도 15년으로 바뀌었고,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급여항목과 적용이 되지 않는 비급여항목에 대한 보상기준이 바뀌었습니다. 급여항목은 90%를 보상하고 비급여항목은 80%를 보상합니다. 이는 비급여항목 치료에 대한 실손보험 청구가 늘어나게 되면서 개정해서 출시되었습니다. 보험사에서 손해율을 줄이기 위해 급여항목과 비급여항목에 대한 보상기준을 변경한 것입니다. 반대로 좋아진 점도 있는데 3세대 2번 실손보험부터는 이전 실손보험에서는 보장받지 못했던 우울증, 공황장해, ADHD 등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를 보상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3세대 2번 실손보험의 자기부담금은 선택형은 급여 10%, 비급여 20%이며 표준형은 급여 20%, 비급여 30%입니다. 이 시기에 가입한 분들은 대부분 선택형을 가입했는데 본인의 실손보험 증권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3세대 3번 실손보험의 가장 큰 특징은 비급여 3대 항목이라 불리는 도수치료/체외충격파, 비급여 주사, MRI/MRA가 특약으로 분리되었다는 점입니다. 이 시기에 도수치료, MRI 과잉진료가 이슈가 되면서 실손보험 청구가 많았던 비급여 3대 항목을 특약으로 분리해서 보상하기 시작했습니다. 비급여항목에 대한 보상기준이 입원이든 통원이든 관계없이 2만원 또는 치료비의 30% 중 큰 금액을 공제하고 보상한다는 점입니다. 지난 1세대, 2세대, 3세대 1번/2번 실손보험의 경우 한도 내에서만 보상을 했는데 3세대 3번의 경우 만약 50만원의 MRI 비용이 나왔다고 가정할 경우 2만원 또는 50만원의 30%인 15만원 중 큰 금액인 15만원을 공제하고 35만원을 보상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3세대 3번 실손보험 자기부담금은 2번과 동일하게 선택형은 급여 10%, 비급여 20%이며 표준형은 급여 20%, 비급여 30%입니다.
3세대 4번 실손보험의 가장 큰 특징은 실손보험을 단독으로 분리되어 가입하게 된 것입니다. 기존에는 종신보험이나 종합보험에 실손보험을 추가해서 세트로 가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이 시기부터는 실손보험만 단독으로 가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3세대 4번 실손보험 자기부담금도 2번, 3번과 마찬가지로 선택형은 급여 10%, 비급여 20%이며 표준형은 급여 20%, 비급여 30%입니다.
3세대 실손보험의 장점은 갱신 보험료가 저렴하다는 점입니다.
3세대 실손보험은 기존 1세대, 2세대 실손보험 대비 갱신할 때 보험료가 저렴합니다. 만기주기가 100세인 1세대, 2세대와 달리 15년으로 짧아졌기 때문인데요. 보장내용과 보장범위가 줄어든 대신 갱신 보험료가 저렴한 것이 장점입니다. 다른 세대 실손보험 대비 3세대 실손보험은 4번의 개정을 거쳤기 때문에 보장내용이 가장 헷갈립니다. 가입시기에 따라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내가 가입한 3세대 실손보험 가입시기를 보험증권을 통해 정확하게 확인해야 제대로된 보상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3세대 실손보험 실비보험 자기부담금, 보장내용, 장점, 단점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본인의 실손보험이 어디에 해당하는 확인하셔서 정당한 보상을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